3월 8일, 많은 분들의 참여와 관심 속에 INSBee 원데이 세미나 1회를 진행했습니다.
세미나는 지속가능경영, ESG의 개념, 적용 예시, 관점 등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기본 이해를 위한 Part 1과 지속가능경영 정보공개 개관 및 팁을 제공하는 Part 2로 진행하였습니다.
Part 1 Highlight 1 - CSR, 지속가능경영, ESG
국내에서 기업사회공헌으로 알려진 CSR은 더 넓은 범위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의미하며, 비즈니스 가치사슬 전과정에서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경제, 법적, 윤리, 사회, 환경, 공익적 책임을 지는 것이다.
지속가능경영은 기업 뿐 아니라 시장과 환경의 지속가능성도 높이는 역할을 하며, 기업 뿐 아니라 인류와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CSR을 잘 하게 되면 지속가능경영과 ESG 평가를 잘 받을 수 있다.
Part 1 Highlight 2 - 지속가능경영, ESG의 두 가지 관점
“우리 조직은 ESG 정보공개를 어떻게 해야 하나?”
우리기업의 관점 및 경영적 맥락을 찾는 것이 우선이다.
- 첫번째는 CSR 관점으로, 책임경영을 하는 기업의 관점
- 두번째는 투자 평가에 초점을 둔 기업의 관점
두 가지 관점 중 어떤 관점에 더 중점을 둘지, 또는 균형을 잘 유지할지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art 1 Highlight 3 - 중대성 평가 및 이중 중대성 평가
중대성 평가는 우리 조직의 경영 방향을 잡는 출발점이 된다.
- 중대성 평가: 우리 조직의 비즈니스 가치사슬에서 발생하고 있는 환경 및 경제에 대한 중요하고 큰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 이중 중대성 평가: 1) 우리 조직의 비즈니스 가치사슬에서 발생하고 있는 환경 및 경제에 대한 중요하고 큰 영향 및 2) 이 부분이 우리 조직에 재무적으로 얼마나 큰 위기와 기회가 되는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 ESRS에서 명시하는 이중 중대성 평가이다.

Part 2 Highlight 1 - ESG 정보공개를 위한 팁
- ESG 정보공개 목적: 투명경영 차원, 법률 및 제도적 차원, 투자자 요구, 고객 및 거래처 요구, 평가기관 요구
- ESG 정보공개 방식: 사업보고서 포함,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ESG 이슈별 보고서 발간, 홈페이지 또는 SNS에 공개, 질의서 응답
Part 2 Highlight 2 - ESG 정보공개 가이드라인 선택

Part 2 Highlight 3 - ESG 정보공개 실행 프로세스
STEP 1 정보공개 목적 결정
- 내외부 이해관계자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ESG 정보공개 목적 협의 및 결정
STEP 2 정보공개 항목 결정
- 어떤 정보를 공개할 것인가를 협의하고 정보공개 항목 의사 결정 진행
STEP 3 정보 취합 + 관리 체계
- ESG 정보 생산, 관리, 검증체계 구축
STEP 4 콘텐츠 제작 + 검증
- 정보공개를 위한 콘텐츠 제작, 필요시 제3자 검증 실시
STEP 5 외부 공개
- ESG 정보공개 콘텐츠 외부공개
STEP 6 이해관계자 피드백 반영
- 이해관계자 피드백 반영, 업데이트, 정보공개 지속 실행
<ESG 정보공개 핸드북> 인쇄본 배포 이벤트 안내

| 이 리뷰를 확인해주신 분들 중 선착순 10분께, '3월 원데이 세미나'의 교재였던 <ESG 정보공개 핸드북> 인쇄본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 대상: 선착순 10인 (1인 1권)
- 신청 방법: 하단 구글링크에서 신청 (선착순 10명 접수 후 신청링크 마감)
- 문의: esg@innosociallab.com
|
3월 8일, 많은 분들의 참여와 관심 속에 INSBee 원데이 세미나 1회를 진행했습니다.
세미나는 지속가능경영, ESG의 개념, 적용 예시, 관점 등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기본 이해를 위한 Part 1과 지속가능경영 정보공개 개관 및 팁을 제공하는 Part 2로 진행하였습니다.
Part 1 Highlight 1 - CSR, 지속가능경영, ESG
국내에서 기업사회공헌으로 알려진 CSR은 더 넓은 범위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의미하며, 비즈니스 가치사슬 전과정에서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경제, 법적, 윤리, 사회, 환경, 공익적 책임을 지는 것이다.
지속가능경영은 기업 뿐 아니라 시장과 환경의 지속가능성도 높이는 역할을 하며, 기업 뿐 아니라 인류와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CSR을 잘 하게 되면 지속가능경영과 ESG 평가를 잘 받을 수 있다.
Part 1 Highlight 2 - 지속가능경영, ESG의 두 가지 관점
“우리 조직은 ESG 정보공개를 어떻게 해야 하나?”
우리기업의 관점 및 경영적 맥락을 찾는 것이 우선이다.
두 가지 관점 중 어떤 관점에 더 중점을 둘지, 또는 균형을 잘 유지할지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art 1 Highlight 3 - 중대성 평가 및 이중 중대성 평가
중대성 평가는 우리 조직의 경영 방향을 잡는 출발점이 된다.
Part 2 Highlight 1 - ESG 정보공개를 위한 팁
Part 2 Highlight 2 - ESG 정보공개 가이드라인 선택
Part 2 Highlight 3 - ESG 정보공개 실행 프로세스
STEP 1 정보공개 목적 결정
- 내외부 이해관계자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ESG 정보공개 목적 협의 및 결정
STEP 2 정보공개 항목 결정
- 어떤 정보를 공개할 것인가를 협의하고 정보공개 항목 의사 결정 진행
STEP 3 정보 취합 + 관리 체계
- ESG 정보 생산, 관리, 검증체계 구축
STEP 4 콘텐츠 제작 + 검증
- 정보공개를 위한 콘텐츠 제작, 필요시 제3자 검증 실시
STEP 5 외부 공개
- ESG 정보공개 콘텐츠 외부공개
STEP 6 이해관계자 피드백 반영
- 이해관계자 피드백 반영, 업데이트, 정보공개 지속 실행
<ESG 정보공개 핸드북> 인쇄본 배포 이벤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