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에 ESG 스펙트럼을 설명하면서 ESG를 실행하거나 바라보는 스펙트럼이 존재하고 그 스펙트럼상에 어느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 상대적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 글에 비밀 댓글이 달렸다.
"글 잘 읽었습니다. ESG에 스펙트럼이 존재한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스펙트럼을 강조하다보면 ESG가 너무 상대적 개념이 되지 않을까요? 상대적 개념이라고 인정해버리면 ESG에는 정답이나 정의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데 그러면 ESG를 잘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아무리 스펙트럼이 있다고 하지만 어느 정도 올바른 지향점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
이런 메일도 왔다.
" (중략) 황희정승의 위인 전기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황희정승이 집안 일꾼들이 말다툼하는 것을 보고 "네 말도 맞다. 제 말도 맞다" 고 했답니다. 옆에서 지켜보던 황희정승 부인이 "그러면 도대체 누구의 말이 맞다는 겁니까?" 라고 물었더니 "당신 말도 맞소" 라고 했던 내용이 생각나네요. ESG 스펙트럼을 설명하다 보면 레벨 1 정도를 실행하는 기업도 맞고, 열심히 노력해서 레벨 7~8 정도 실행하는 기업도 맞다고 하면 어떤 기업이 많은 자원을 써서 7~8로 가려고 할까요? 상대적인 스펙트럼을 강조하면 많은 기업의 ESG가 하향 평준화되지 않을까요?"
"음.... 여러분의 말이 맞습니다."
그래서, 스펙트럼 분석은 현황과 시점(視點, view point)을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쓰인다. 스펙트럼 분석 자체만 가지고 지향점을 제시하기는 충분하지 않다.
정의란 무엇인가? 정답은 무엇인가?
마이클 센델은 그의 책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정의(正義)를 정의(定義)하거나 정답을 뚜렷하게 제시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정의를 찾아가고 정의하는 과정 그 자체가 정의일 수 있다고 했다. 하버드 학생들에게 철학의 방법론을 가르치기 위한 강의 내용을 책으로 다시 정리한 것이니 책에 정의의 정답이 분명하게 나와있을리 없다.
ESG의 정답도 마이클 센델의 수업 방식을 빌려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ESG의 정답이나 정의도 그 자체를 찾아가는 과정이 정답이나 정의일 수 있다" 고 말하면....
'재수 없음' , ' 말 장난' 이라는 댓글이 달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 말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기업의 비즈니스 과정에서 환경(E)과 사회(S)적 가치를 얼마만큼 중요하게 의사결정(G)에 반영할 것인지는 시시각각 변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앞선 여러 글에서 자주 설명했지만 ESG는 (1) 국제/국내 법의 규제, (2) 고객(정부, 기업, 개인)의 요구, (3) 투자자의 요구, (4) 시민사회와 여론의 평판, (5) 환경, 사회문제의 시급성&심각성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어느 정도가 정답이라고 확언할 수 없다. 게다가 시간이 지날 수록 달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답은 있다.
ESG의 정답을 찾기 위해선 ESG를 탄생하게 한 기본 개념들을 함께 살펴봐야 한다. CSR과 지속가능경영이 ESG를 탄생하게한 기본 개념들이다. CSR과 지속가능경영, ESG의 개념과 용도를 비교해서 공통사항을 뽑아보면 정답에 가까운 ESG의 지향점을 찾을 수 있다.
이제는 이 세 가지 용어에 대해 다들 잘 알시겠지만, 이 블로그에 처음 들어오는 분들을 위해 다시 한번 설명하면..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비즈니스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사회, 환경적 영향에 대한 기업의 대응과 책임활동을 말한다. 다시말해 CSR을 잘한다는 의미는 기업이 자신의 비즈니스에서 발생하는 사회, 환경적 영향이 무엇이고 얼마만큼인지를 잘 파악해서 그것이 부정적인이면 최대한 줄이고 긍정적이면 최대한 늘리는 것이다. (CSR을 아직도 기업사회공헌이라고 설명하는 자칭 ESG 전문가들이 있는데 이들의 말은 가급적 무시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이 사람들은 CSR과 관련된 제대로된 책이나 논문은 읽지않고 신문과 인터넷 자료로만 아는척하는 사람들이다.)
SM(Sustainable Management,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이 기업 자체의 지속가능성 뿐만 아니라 기업이 속한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도 함께 향상시키는 경영을 말한다. 영국이나 유럽에서는 지속가능경영의 3대 요소인 경제, 환경, 사회를 강조해서 TBL(Tripple Bottom Lin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속가능경영을 환경경영과 같은 개념으로 설명하거나 기업자체의 지속가능성만 강조해서 설명하는 자칭 ESG 전문가들이 있는데 이들의 말도 가능한 듣지 않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이 사람들은 1990년대에 공부한 후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는 투자업계 전문용어라고 보는 것이 맞다. 기업이 자신의 비즈니스에 어떤 환경과 사회적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는지 또는 앞으로 어떤 환경, 사회 리스크가 닥칠지를 제대로 식별(파악)하고 이에 얼마나 잘 대응하고 있는지, 또는 잘 대응할지를 파악해서 평가하고 평가한 등급을 투자에 반영하는 프레임을 ESG라고 한다.
특히 연기금, 공적자금, 국부펀드와 같이 장기 안정성과 공공적 가치가 중요한 자금들은 투자 대상의 "예측 불가능성"이 높으면 투자하기 어렵다. 따라서 예측 불가능성이 적은 회사를 찾는 것이 투자사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ESG는 예측 불가능성이 환경이나 사회 문제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환경과 사회 이슈에 대해 잘 대응하고 관리하는 회사를 찾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ESG 제대로 알고 있는냐 아니냐, 또는 ESG 전문가인가 아닌가를 구분하는 방법은 CSR, 지속가능경영, ESG의 개념을 각각 구분해서 잘 설명할 수 있고 이 세 가지 개념이 어떻게 상호 연관 관계가 있는지 설명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념을 실행하기 위한 전략과 방법론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서 모범을 보이고 있는 기업과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정도는 알고 있는가 아닌가... 정도가 아닐까 싶다.
CSR, SM, ESG의 교집합 = 기업 경영의 궁극의 지향점
결론은 CSR, SM, ESG의 교집합을 찾아 그 핵심을 지향하는 것이 ESG의 정답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정답은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의 비즈니스에서 사회,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 이다.
EU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상임위원이자 (前)ISO26000 집행위원장인 마틴 로이라이터 교수는 지속가능경영, CSR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기업이 비즈니스를 하면서 환경과 사회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나는 그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ESG에는 스펙트럼이 존재한다. 그 스펙트럼을 상대적 가치로만 이해하면 ESG의 정답이 여러개일 수 있다. 그러나 그건 정의로운 ESG라고 할 수 없다.
생수 한 병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판단할 수 있다면 고객은 자신의 우선가치에 따라 환경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더라도 값이 싼 생수를 선택할 수 도 있고, 값이 비싸더라도 환경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이 덜 한 생수를 선택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기업 또는 상품과 서비스가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얼마나 되는지 객관적, 과학적, 상대적으로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파악 도구가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ESG가 제대로 잘되기 위해서는 바로 이 부분,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얼마나 되는지 과학적, 객관적,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준과 방법을 찾아내야한다. 이 부분이 현재 불분명하고 오락가락하고 있기 때문에 ESG도 여전히 혼란스러운 것이다.
ESG에 정답이 없는 것이 아니라 정답을 실행하는 방법, 정답을 실행한 것을 증명하고 비교할 만한 명확한 도구와 증거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사회와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 완벽한 ESG를 실현하는 것인가? 그렇다. 하지만 설명할 것이 더 남았다. 나머지는 다음 주에~~
ESG에 정답이 없다고? 천만에 말씀
'황희정승'인가요?
지난 주에 ESG 스펙트럼을 설명하면서 ESG를 실행하거나 바라보는 스펙트럼이 존재하고 그 스펙트럼상에 어느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 상대적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 글에 비밀 댓글이 달렸다.
"글 잘 읽었습니다. ESG에 스펙트럼이 존재한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스펙트럼을 강조하다보면 ESG가 너무 상대적 개념이 되지 않을까요? 상대적 개념이라고 인정해버리면 ESG에는 정답이나 정의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데 그러면 ESG를 잘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아무리 스펙트럼이 있다고 하지만 어느 정도 올바른 지향점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
이런 메일도 왔다.
" (중략) 황희정승의 위인 전기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황희정승이 집안 일꾼들이 말다툼하는 것을 보고 "네 말도 맞다. 제 말도 맞다" 고 했답니다. 옆에서 지켜보던 황희정승 부인이 "그러면 도대체 누구의 말이 맞다는 겁니까?" 라고 물었더니 "당신 말도 맞소" 라고 했던 내용이 생각나네요. ESG 스펙트럼을 설명하다 보면 레벨 1 정도를 실행하는 기업도 맞고, 열심히 노력해서 레벨 7~8 정도 실행하는 기업도 맞다고 하면 어떤 기업이 많은 자원을 써서 7~8로 가려고 할까요? 상대적인 스펙트럼을 강조하면 많은 기업의 ESG가 하향 평준화되지 않을까요?"
"음.... 여러분의 말이 맞습니다."
그래서, 스펙트럼 분석은 현황과 시점(視點, view point)을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쓰인다. 스펙트럼 분석 자체만 가지고 지향점을 제시하기는 충분하지 않다.
정의란 무엇인가? 정답은 무엇인가?
마이클 센델은 그의 책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정의(正義)를 정의(定義)하거나 정답을 뚜렷하게 제시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정의를 찾아가고 정의하는 과정 그 자체가 정의일 수 있다고 했다. 하버드 학생들에게 철학의 방법론을 가르치기 위한 강의 내용을 책으로 다시 정리한 것이니 책에 정의의 정답이 분명하게 나와있을리 없다.
ESG의 정답도 마이클 센델의 수업 방식을 빌려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ESG의 정답이나 정의도 그 자체를 찾아가는 과정이 정답이나 정의일 수 있다" 고 말하면....
'재수 없음' , ' 말 장난' 이라는 댓글이 달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 말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기업의 비즈니스 과정에서 환경(E)과 사회(S)적 가치를 얼마만큼 중요하게 의사결정(G)에 반영할 것인지는 시시각각 변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앞선 여러 글에서 자주 설명했지만 ESG는 (1) 국제/국내 법의 규제, (2) 고객(정부, 기업, 개인)의 요구, (3) 투자자의 요구, (4) 시민사회와 여론의 평판, (5) 환경, 사회문제의 시급성&심각성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어느 정도가 정답이라고 확언할 수 없다. 게다가 시간이 지날 수록 달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답은 있다.
ESG의 정답을 찾기 위해선 ESG를 탄생하게 한 기본 개념들을 함께 살펴봐야 한다. CSR과 지속가능경영이 ESG를 탄생하게한 기본 개념들이다. CSR과 지속가능경영, ESG의 개념과 용도를 비교해서 공통사항을 뽑아보면 정답에 가까운 ESG의 지향점을 찾을 수 있다.
이제는 이 세 가지 용어에 대해 다들 잘 알시겠지만, 이 블로그에 처음 들어오는 분들을 위해 다시 한번 설명하면..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비즈니스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사회, 환경적 영향에 대한 기업의 대응과 책임활동을 말한다. 다시말해 CSR을 잘한다는 의미는 기업이 자신의 비즈니스에서 발생하는 사회, 환경적 영향이 무엇이고 얼마만큼인지를 잘 파악해서 그것이 부정적인이면 최대한 줄이고 긍정적이면 최대한 늘리는 것이다. (CSR을 아직도 기업사회공헌이라고 설명하는 자칭 ESG 전문가들이 있는데 이들의 말은 가급적 무시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이 사람들은 CSR과 관련된 제대로된 책이나 논문은 읽지않고 신문과 인터넷 자료로만 아는척하는 사람들이다.)
SM(Sustainable Management,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이 기업 자체의 지속가능성 뿐만 아니라 기업이 속한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도 함께 향상시키는 경영을 말한다. 영국이나 유럽에서는 지속가능경영의 3대 요소인 경제, 환경, 사회를 강조해서 TBL(Tripple Bottom Lin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속가능경영을 환경경영과 같은 개념으로 설명하거나 기업자체의 지속가능성만 강조해서 설명하는 자칭 ESG 전문가들이 있는데 이들의 말도 가능한 듣지 않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이 사람들은 1990년대에 공부한 후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는 투자업계 전문용어라고 보는 것이 맞다. 기업이 자신의 비즈니스에 어떤 환경과 사회적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는지 또는 앞으로 어떤 환경, 사회 리스크가 닥칠지를 제대로 식별(파악)하고 이에 얼마나 잘 대응하고 있는지, 또는 잘 대응할지를 파악해서 평가하고 평가한 등급을 투자에 반영하는 프레임을 ESG라고 한다.
특히 연기금, 공적자금, 국부펀드와 같이 장기 안정성과 공공적 가치가 중요한 자금들은 투자 대상의 "예측 불가능성"이 높으면 투자하기 어렵다. 따라서 예측 불가능성이 적은 회사를 찾는 것이 투자사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ESG는 예측 불가능성이 환경이나 사회 문제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환경과 사회 이슈에 대해 잘 대응하고 관리하는 회사를 찾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ESG 제대로 알고 있는냐 아니냐, 또는 ESG 전문가인가 아닌가를 구분하는 방법은 CSR, 지속가능경영, ESG의 개념을 각각 구분해서 잘 설명할 수 있고 이 세 가지 개념이 어떻게 상호 연관 관계가 있는지 설명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념을 실행하기 위한 전략과 방법론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서 모범을 보이고 있는 기업과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정도는 알고 있는가 아닌가... 정도가 아닐까 싶다.
CSR, SM, ESG의 교집합 = 기업 경영의 궁극의 지향점
결론은 CSR, SM, ESG의 교집합을 찾아 그 핵심을 지향하는 것이 ESG의 정답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정답은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의 비즈니스에서 사회,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 이다.
EU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상임위원이자 (前)ISO26000 집행위원장인 마틴 로이라이터 교수는 지속가능경영, CSR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기업이 비즈니스를 하면서 환경과 사회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나는 그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ESG에는 스펙트럼이 존재한다. 그 스펙트럼을 상대적 가치로만 이해하면 ESG의 정답이 여러개일 수 있다. 그러나 그건 정의로운 ESG라고 할 수 없다.
생수 한 병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판단할 수 있다면 고객은 자신의 우선가치에 따라 환경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더라도 값이 싼 생수를 선택할 수 도 있고, 값이 비싸더라도 환경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이 덜 한 생수를 선택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기업 또는 상품과 서비스가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얼마나 되는지 객관적, 과학적, 상대적으로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파악 도구가 완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ESG가 제대로 잘되기 위해서는 바로 이 부분,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얼마나 되는지 과학적, 객관적,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준과 방법을 찾아내야한다. 이 부분이 현재 불분명하고 오락가락하고 있기 때문에 ESG도 여전히 혼란스러운 것이다.
ESG에 정답이 없는 것이 아니라 정답을 실행하는 방법, 정답을 실행한 것을 증명하고 비교할 만한 명확한 도구와 증거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사회와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 완벽한 ESG를 실현하는 것인가? 그렇다. 하지만 설명할 것이 더 남았다. 나머지는 다음 주에~~
Balanced CSR & ESG 유승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