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평가, 껍데기를 벗어 던져라!!

관리자
조회수 322



ESG 평가, 껍데기를 벗어 던져라!!

 

7월에 보고하게 해줘라!!

 

2023년 현재, 우리나라 ESG업계에서 가장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이벤트는 단언코 <한국 ESG 기준원(KCGS)의 ESG 평가 설명회>이다. 지난 3월에 열렸던 1차 설명회에서 검증을 받은 지속가능성보고서를 6월 말까지 홈페이지에 공개해야한다고 했다가 수 많은 기업들의 반발에 부딪쳐 5월 10일에 열린 2차 설명회에서는 7월로 연기했다. 겨우 한 달이 무슨 차이가 있나 싶겠지만,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만들어 본 실무자들은 알 것이다. 그 한 달을 당기는 것이 얼마나 벅찬 일인가를...

 

ESG 뭐 있어, 평가 잘 받으면 되지..

 

ESG, 지속가능경영 컨설팅을 해달라고 해서 기업의 담당 임원이나 실무자들을 만나면, 처음에는 속내를 들어내지 않다가 지속가능경영에 대해 설명을 조금하려고 하면, 그 5분을 참지 못하고 이렇게 말한다. 

 

"센터장님, 저희 회사는 지금 지속가능경영을 하기에는 여러가지로 준비해야할 것이 많습니다. 준비되는 데로 차근 차근 하려고 하고요. 저희가 원하는 것은 작년에 KCGS 평가가 C 등급이었거든요. 올해는 B 등급으로 올리고 싶습니다. 어느 정도 시간에 얼마 정도면 가능할까요?"

 

이런 말은 이렇게 들린다.

 

"(입시) 컨설턴트님, 저희 아들 성적이 지금 수도권 4년제 대학에 들어갈 정도가 안됩니다. 차근 차근 공부해서 성적을 올리기는 어려울 것 같구요. 다른 방법으로 수도권 4년제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ESG 실무자들 교육을 하면 공통적으로 토로하는 어려움이 회사에서 ESG, 지속가능경영을 평가 대응 중심으로 하라고 지시한다는 것이다. 뭔가 진짜 지속가능경영을 해보려고 기획안을 올리면 임원이나 대표가 '이렇게 장기적이고 돈이 들어가는 일은 내가 다른데 간 다음에, 내가 그만 둔 다음에 하라' 고 한단다. 나 또한 대기업 CSR팀장일 때 담당 임원에게 들었던 소리다. 

 

 

ESG 평가에 대응하다 시기를 많이 놓쳤죠.

 

EU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는 M기업 ESG 팀장을 며칠 전 만났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ESG 평가에 대응하느라 시간과 컨설팅 비용 허비한 것이 많이 후회되요. 2년 전에 센터장님이 말씀했던 것 처럼 ESG 데이터 체계 구축하고 자회사랑 협력사들과 같이 ESG 협력체계를 제대로 만들었으면 지금 평가는 물론이고 유럽 기업들이 요구하는 부분들을 그리 어렵지 않게 했을 텐데요. "

 

2년 전 우리 회사의 ESG 교육을 열심히 받았던 그녀는 회사에 돌아가 ESG 데이터 체계와 자회사 및 협력사와 함께하는 지속가능경영 실행체계 구축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보고했지만, 담당 임원은 그것보다 당장 ESG 평가 등급을 올려주겠다는 컨설팅사의 유혹(?)에 넘어가 수억원을 주고 껍데기와 말 뿐인 지속가능성보고서와 홈페이지를 만들었다. 덕분에 재작년엔 KCGS 평가 등급 C였던 회사가 작년에는 B 등급이 되었다. 

 

"C에서 B등급이 되었다고 우리 회사 지속가능경영이 나아진 것은 하나도 없어요. 오히려 이제는 B등급 받았으니 ESG팀은 지금 그대로만 유지하라고 하죠. A 등급은 회사에서 바라지도 않고요. 그런데 문제는 EU쪽에서 원하는 요구 사항에 대응할 준비가 하나도 되어있지 않은 거예요. EU쪽 요구 사항을 상무님께 보고했더니, '이제와서 그런 걸 보고하면 어쩌냐고 진작에 이게 더 중요하다고 했어야지..' 라고 역정을 내는 거 있죠. 참내 기가 막혀서 2년 전 보고 때 빨간 밑줄까지 쳐가지고 보고한 건데.. 이제야 보고한다고 난리를 치고... 정말 못해 먹겠어요."

 



 

형식에 치우친 평가가 속빈 강정을 만든다.

 

ESG 평가는 정말 정말 중요하다. 어떤 기업이 지구환경과 사회 공동체의 지속가능성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평가하여 그 기업에 우선적으로 투자하는 일은 기업 뿐만 아니라 인류사회 전체를 위해서도 정말 정말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문제는 현재의 ESG 평가 방식이 과연 지속가능경영을 진정성있게 정말 잘 실행하는 기업을 정확하게 골라낼 수 있는가하는 것이다. 나는 현재의 평가방식으론 겉 껍데기만 볼 수 있을 뿐 속 알맹이는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한국 ESG 기준원을 비롯해 MSCI, DJSI 평가도 형식에 치우친 면이 많다. 여기서 형식이라 함은 지속가능경영과 ESG에 관련된 글로벌 가이드라인들의 요구 사항을 얼마나 '형식적'으로 잘 갖추었냐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ESG 평가를 받기 위해 회사내에 실제 있지도 않거나 작동하지도 않는 원칙, 규정과 행동강령, 위원회들을 만들고 그것이 실제 작동하고 성과를 내는 것 처럼 보고서를 꾸며 외부에 공개하고 있다. 이런 일에 발벗고 나서는 곳이 바로 ESG 컨설팅회사들이다.

 

한국 ESG 기준원도 그렇고 MSCI, DJSI도 이런 껍데기 형식안에 실제 알맹이 내용이 있는지, 그리고 실제 경영현장에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지 알고 싶고, 그것을 제대로 평가하고 싶겠지만... 지금은 그것을 제대로 알 수 있는 방법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발간한 지속가능성보고서는 제3자 검증을 받았다고 하지만 이 또한 내용 검증이 아니라 형식 검증에 불과하다. 기업 스스로 발간한 보고서를 가지고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아이러니다. 그리고 그 보고서의 대부분은 컨설팅사의 코치 또는 대필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결국 컨설팅과 보고서에 얼마나 많은 돈을 지불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ESG 평가의 등급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되는 것이 지금의 우리나라 현실이다. 

 

그래서, 어떤 기업이 ESG 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고 해서 B등급을 받은 회사보다 지속가능경영을 실제로 잘한다고 말할 수 없다. 단지 지속가능경영의 형식을 B등급 받은 회사보다 A등급 받은 회사가 조금 더 잘 갖추었다고는 말할 수 있다. 물론 평가기간 동안 환경, 사회, 거버넌스 측면에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거나 법적 제재를 받는 등 공개적으로 문제를 일으킨 기업은 네거티브 평가 방식에 의해 ESG 등급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그 부분은 누구나 인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별 이슈가 없는 기업들끼리 상대 평가를 할 때는 보고서 등 겉으로 공개된 자료만 가지고 평가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형식에 치우친 평가를 할 수 밖에 없다.

 



 

그럼, 어쩌란 말이냐....

 

기업 내부 사정도 알 수 없고,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내용이나 데이터도 믿을 수 없다면 무엇을 가지고 ESG 평가를 해야하냐고 되물을 수 있다.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형식이 아니라 내용, 껍데기가 아니라 알맹이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를 하라고... 그렇게 되려면 지금처럼 수십, 수백개의 평가지표를 줄줄이 늘어놓고 얼마나 많은 평가지표에 형식적으로 충족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검증가능한 핵심 숫자만 몇 개만 추려서 평가해야한다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산업내 상대 평가가 아니라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절대 평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평가지표의 숫자를 늘리고 그 지표 형식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애쓰지 말고, 정말 중요한 그리고 검증 가능한 그래서 기업이 환경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드시 책임져야 할 단 몇 개의 숫자를 평가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온실가스와 폐기물을 가장 많이 배출하고, 토양과 물을 가장 많이 오염시키는 회사, 노동자와 협력업체에게 가장 심한 고통을 주는 회사, 제3세계 공급망에서 가장 많은 아동노동과 노예노동이 일어나고 있는 회사가 평가지표가 요구하는 형식을 잘 갖추었다고 ESG 평가에서 A 등급을 받는다면 그것은 분명 잘못된 평가다. 

 

ESG 평가는 학업성적보다 인성과 태도 평가에 더 가깝다. 학업 성적이 상위 1%라고 해서 인성과 태도 또한 상위 1%는 분명 아니다. 

 

지금의 ESG 평가는 진짜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

 

.... 일부러 그러는 걸까... 모두를 속이기 위해서... 

 

Balanced CSR & ESG 유승권 

 

이노소셜랩 지속가능경영센터

(04518)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5, 두비빌딩 201호

esg@innosociallab.com | 02-720-0259

이노소셜랩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COPYRIGHT ©INSBee ALL RIGHTS RESERVED.